-
6. 프로그래밍 언어공부 일기/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. 7. 19. 16:33728x90
C JAVA Python null NULL null null 배열 [] = {값} [] = {값} 리스트=[](가변적 크기, RW, 괄호 출력)
튜플=()(선언된 후 수정X, R, 괄호 출력)
세트={}(중복X, 순서대로, 괄호 출력)
딕셔너리={'1': 1}(키,값 형식, 괄호 출력)boolean bool = true/false boolean = true/false True/False 연산자 나눈 결과: / (정수)
나눈 나머지: %나눈 결과: / (정수)
나눈 나머지: %나눈 결과: / (소수), // (몫) - c 포맷 스트링 출력(소수): %[-][0][전체자리수] . [소수점자리수]
- -: 왼쪽 정렬
- 0: 전체 자릿수의 빈공간을 0으로 채움
- 전체자리수: .도 한 자릿수로 표기됨
- 소수점 자리수: 소수점 뒷자리 개수
- static: 한 번 초기화 되고 어디에서든 사용 가능.
- c 문자열: 문장 중 NULL이 뜨면 더이상 읽지 않음.
- Python 슬라이싱
- [시작:종료] = 시작은 포함되지만 끝 번호는 포함되지 않음.
- [a, b, c] = a부터 b까지 c개씩
- Python type: type(변수)로 출력했을 때 <class '자료형'>으로 출력
- Pyton for: for i in range(a, b, c) = i의 값이 a부터 b(b는 포함X)까지인데 c만큼씩 변화
- Python 상속: 부모 = class A:, 자식 class B(부모) 형식
728x90'공부 일기 > 정보처리기사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-1. 운영체제의 특징 (0) 2024.07.22 10-2.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 (0) 2024.07.21 5. 인터페이스 구현 (0) 2024.07.19 4. 통합 구현 (0) 2024.07.19 3-2. 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 ~ 3-3.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 (0) 2024.07.18 - c 포맷 스트링 출력(소수): %[-][0][전체자리수] . [소수점자리수]